경제/돈이 되는 정보

기장신고 vs 추계신고, 나에게 유리한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은?

카라멜필름 | caramelfilm 2025. 4. 22. 11:18
728x90

종합소득세 신고할 때, 기장신고와 추계신고 뭐가 다를까? 매년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입니다.
사업자, 프리랜서, 부업이 있는 분들이라면 세무서에서 “기장신고 하실 건가요? 추계신고 하실 건가요?”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텐데요. 많은 분들이 이 두 방식의 차이를 헷갈리거나 잘못 선택해 손해를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오늘은 기장신고와 추계신고의 개념, 차이점, 장단점까지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 기장신고 vs 추계신고 비교

항목 기장신고 추계신고
장부 작성 필요(복식/간편 장부) 불필요
증빙자료 필요 거의 없음
세무 정확성 높음 낮음(추정치 기준)
세금 부담 상대적으로 낮음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음
대상자 수입금액이 일정 기준 이상인 경우 의무 소규모 사업자, 프리랜서 등 선택 가능
공제 혜택 다양함(기장세액공제 등) 상대적으로 적음

 

※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

▶ 정기 신고: 매년 5월 1일 ~ 5월 31일
▶ 기한 후 신고: 동년 6월 1일 ~ 11월 30일 (※단, 지급액의 10% 감액)


728x90

"기장신고 vs 추계신고, 뭐가 유리?"

- 매년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 -

 

1. 기장신고란?

​‘기장’이란 말 그대로 장부를 작성해서 신고하는 방식입니다.
수입과 지출을 증빙서류(세금계산서, 현금영수증, 카드내역 등)에 따라 기록하고, 그 자료를 바탕으로 종합소득세를 계산합니다.

▶ 기장신고의 특징
- 사업자의 실제 수익과 비용을 기반으로 정확하게 세금 계산
- 세무대리인이나 세무회계 프로그램 사용 필수인 경우가 많음
- 세금계산서를 잘 챙기고, 증빙관리가 철저하다면 세 부담을 줄일 수 있음
- 일정 기준 이상이면 의무적으로 기장신고 대상이 됨
- 세액공제 혜택이 더 많음 (기장세액공제, 세액감면 등)

 

2. 추계신고란?

‘추계’는 말 그대로 추정치로 계산해서 신고하는 방식입니다.
장부를 작성하지 않거나, 증빙자료가 부족한 경우, 정부가 정한 기준율을 적용해 대략적인 소득을 추산합니다.

▶ 추계신고의 특징
- 장부나 증빙자료가 없어도 신고 가능
- 간단하고 편하지만, 실제보다 과세표준이 높아질 수 있음
- 일정 업종에 따라 단순경비율 또는 기준경비율 적용됨
- 절세 효과는 낮지만, 장부 작성 부담이 없음

 

3.  어떤 방식이 유리할까?

▶ 장부 작성이 가능하고, 경비가 많은 사업자라면 기장신고가 유리합니다.
→ 실제 경비 반영이 가능하므로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어요.

매출이 적고, 증빙이 부족하거나 번거로운 분들은 추계신고가 간편합니다.
→ 단, 간편하다고 해서 무조건 유리한 건 아닙니다. 예상보다 높은 세액이 나올 수 있어요.

 

4. 요약

종합소득세 신고는 기장신고와 추계신고 중 선택할 수 있음

▶ 기장신고는 작성한 장부를 바탕으로 신고하는 방법

▶ 추계신고는 국세청이 정한 업종별 평균 경비율에 따라 비용을 계산해 소득을 추정하는 방식

 

5.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팁

▶ 홈택스에서 신고 전 예상세액 미리보기 꼭 활용하기
장부작성이 어렵다면 간편장부라도 작성해두는 습관 들이기
세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절세 전략 세우기
기장신고자는 기장세액공제 등 추가 혜택 확인하기

 


기장신고와 추계신고는 단순히 편한 쪽을 고르는 게 아니라,
내 사업의 구조와 상황에 맞게 선택해야 세금도 줄이고 혜택도 챙길 수 있습니다.
혹시 올해 종합소득세 신고를 앞두고 계신다면, 지금 이 글이 선택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2025년 자영업자·소상공인 정부 지원 정책 총정리

​2025년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을 위한 정부 지원 정책이 대폭 강화되고 다양화되었습니다.총 예산 약 5.9조 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의 예산이 편성되었습니다. 또한, 총 26.5조 원 규모의 정책금융

caramelfilm.tistory.com

728x90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