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최근 이슈

중국 증시, 다시 부상할까? ‘테리픽10(Terrific 10)’로 본 2025년 투자 전망

카라멜필름 | caramelfilm 2025. 3. 25. 12:07
728x90

최근 몇 년간 글로벌 증시의 중심은 미국 나스닥이었습니다. 특히 빅테크(FAANG) 기업들의 압도적인 시가총액과 실적 상승으로, 대다수 투자자들이 미국 시장에 눈을 돌렸죠. 하지만 2025년에 접어들면서, 미국의 금리 인상 장기화·빅테크 실적 둔화 우려 등이 겹치자 다시 중국 증시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분위기입니다. 게다가 중국 내수 경제 회복과 더불어, ‘테리픽10(Terrific 10)’이라 불리는 신흥 기술·플랫폼 기업군이 새롭게 각광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중국 증시 재부상 배경부터 테리픽10의 주요 기업, 그리고 2025년 투자 전략까지 간략히 정리해 봅니다.

"테리픽10 | 중국 증시 부상?"

- 중국 내수 경제 회복, 2025년 투자 전망 -

중국 증시, 다시 부상할까? ‘테리픽10(Terrific 10)’로 본 2025년 투자 전망
[중국 증시, 다시 부상할까? ‘테리픽10(Terrific 10)’로 본 2025년 투자 전망]

 

■ 중국 증시, 왜 다시 주목받나?

1. 경기 부양책과 내수시장 강화

⊙ 2024년 하반기부터 중국 정부는 부동산·소비 분야를 중심으로 추가 부양책을 발표하며 내수 진작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 국제통화기금(IMF)은 “2025년 중국 GDP 성장률이 5% 전후로 회복될 가능성이 있다”라고 전망, 국제 투자자들의 기대 심리를 자극하고 있습니다.

 

2. 정책 리스크 완화 시그널

⊙ 2021~2022년 동안 이어진 인터넷 플랫폼 기업 규제(반독점, 게임 총량 제한 등)가 조금씩 완화되는 모습이 관측됩니다.

⊙ 플랫폼주·테크주에 대한 정부의 태도가 ‘지원’ 국면으로 전환되면, 투자 심리가 되살아날 수밖에 없습니다.

 

3. 미국 증시 불확실성 확대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 기조가 예상보다 길어지면서 나스닥 빅테크 기업들에 대한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 고평가 논란, 경기 둔화 우려 등으로 자금이 이탈해 신흥국(특히 중국) 시장으로 일부 옮겨가는 추세가 포착됩니다.

 

■ 테리픽10(Terrific 10)이란?

1. 개념과 배경

테리픽10은 중국 증시(혹은 중국계 기업) 중에서 미래 핵심 성장동력으로 떠오른 10개 전후의 기업군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미국의 FAANG(페이스북·아마존·애플·넷플릭스·구글)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2023~2025년 동안 급성장할 중국 기술·플랫폼·소비 기업을 묶어 부르는 비공식 명칭입니다.

 

2. 주요 기업

※어떤 기업들이 ‘10’에 포함되느냐는 출처마다 다를 수 있지만, 대체로 위와 유사한 주요 플랫폼·테크 업체들이 거론됩니다.

기업명 주요 사항
알리바바(BABA) 전자상거래·클라우드 분야 선두.
텐센트(700.HK) 소셜미디어·게임·핀테크를 아우르는 플랫폼 거인.
메이퇀(3690.HK) 음식 배달·현지 생활 서비스 대표 플랫폼.
징둥닷컴(JD.com) 알리바바와 쌍벽을 이루는 전자상거래 2위 업체.
핀둬둬(PDD) SNS형 전자상거래로 빠르게 확장, 농산물 직거래 분야도 공략.
샤오미(1810.HK) 스마트폰·IoT 가전 제품으로 중국 및 신흥국 시장 선도.
바이두(BIDU) 중국 최대 검색 엔진. AI·클라우드 등에 대규모 투자.
비리비리(BILI), 콰이쇼우(1024.HK) 젊은 층에 인기인 동영상 플랫폼.
디디추싱(DIDI) 중국판 우버(Uber)로, 2023년 규제 완화 후 정상 운영 중.

중국 증시, 다시 부상할까? ‘테리픽10(Terrific 10)’로 본 2025년 투자 전망
[중국 증시, 다시 부상할까? ‘테리픽10(Terrific 10)’로 본 2025년 투자 전망 ❘ 출처: 알리바바 홈페이지]

728x90

2025년 미국 나스닥 vs. 중국 증시 흐름

1. 나스닥: 금리·실적 부담

⊙ 2024년 하반기까지도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고, 2025년 중반 이후 완화될 거란 예측이 많습니다.

⊙ 주요 빅테크들이 신기술(AI) 투자 부담, 규제 이슈, 시장 포화 등으로 예전만큼의 폭발적 성장을 보여주기 어렵다는 점도 약점입니다.

 

2. 중국 증시: 부양책 + 내수 회복

⊙ 중국 정부는 본토(상하이·선전)와 홍콩 증시 유동성 확대, 외국인 투자 유입 촉진을 위해 세제 혜택과 규제 완화를 동시에 추진 중입니다.

⊙ 경기 사이클상 2025~2026년이 본격적 반등 시점이 될 거라는 낙관적 전망이 제기됩니다.

 

3. 변동성 리스크

⊙ 미·중 무역 갈등, 기술 패권 다툼, 반도체·AI 제재 등 정치·외교적 갈등이 증시에 악재가 될 수 있습니다.

통화정책, 환율, 정책 규제 등 중국 특유의 불확실성도 여전히 상존하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 투자 전략 & 유의사항

1. 정책 리스크 점검

⊙ 중국 정부의 규제 기조가 언제든 다시 강해질 수 있음을 염두에 둬야 합니다.

⊙ 테리픽10 기업들은 플랫폼·인터넷·게임 분야 비중이 크기 때문에, 정부 정책 변동에 민감합니다.

 

2. ADR vs. 홍콩 vs. 본토 거래

⊙ 알리바바, 바이두 등 일부 기업은 미국 ADR(예: NYSE, NASDAQ)에 상장되어 있고, 텐센트·메이퇀 등은 홍콩 증시, 샤오미나 징둥닷컴도 홍콩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 거래 방식이나 세금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어느 시장에서 매매할지 결정한 뒤 증권사 계좌 개설을 준비해야 합니다.

 

3. 내수·신기술 성장 지속성

⊙ 중국의 디지털 경제, 내수 소비, AI·빅데이터·클라우드 부문 성장세가 2025년 이후에도 이어질 것인가가 핵심 변수입니다.

테리픽10 기업 중 일부는 글로벌 시장 진출에도 속도를 내고 있지만, 미·중 갈등으로 해외 제재 또는 시장 진입 제한 가능성도 있으므로 기업별 전략을 파악해야 합니다.

 

4. 분산 투자와 중장기 관점

⊙ 변동성이 커질 수 있으므로, 분산 투자가 필수입니다. 테리픽10 모두 유망하다 해도 개별 종목 특성이 달라, 분산을 통해 위험을 상쇄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기 이벤트 트레이딩보다 2~3년 이상 중장기 보유를 염두에 두고 접근한다면, 중국 내수 성장과 함께 기업 가치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중국 증시, 다시 부상할까? ‘테리픽10(Terrific 10)’로 본 2025년 투자 전망
[중국 증시, 다시 부상할까? ‘테리픽10(Terrific 10)’로 본 2025년 투자 전망 ❘ 출처: 샤오미 홈페이지]

728x90

■ 마무리: "내수 경제? / 정책 & 무역 갈등 / 글로벌 경기?"

중국 증시는 한동안 강력한 규제와 팬데믹 영향으로 침체를 겪었지만, 2025년을 앞두고 부동산 규제 완화, 신기술 투자 확대, 경기부양책 등이 맞물리면서 다시 활기를 되찾을 조짐이 보입니다. 테리픽10으로 불리는 신흥 플랫폼·테크 기업들은 중국 내수 경제를 등에 업고 글로벌 경쟁력을 키워가는 중이지만, 동시에 정책·무역 갈등이라는 리스크도 내재해 있습니다.

결국 2025년 이후 중국 증시가 나스닥을 대신해 “차세대 성장주 무대”가 될 수 있을지 여부는, 중국 정부의 규제 방향, 미·중 관계, 글로벌 경기 사이클 등에 달려 있을 것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장밋빛 전망만 믿고 무리하게 베팅하기보다는, 시장 상황과 기업 실적을 꾸준히 점검하며 분산 투자를 실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위기 속 기회”라는 말처럼, 중국 증시 부활이 실제로 현실화될지 눈여겨볼 시점입니다.

 

 

넥스트레이드(NXT) 쉽게 이해하기: 개인 투자자를 위한 새로운 시장, 어떻게 공략할까?

넥스트레이드(NextTrade)는 새로운 세대의 주식 거래 시스템으로, 기존 HTS·MTS 대비 향상된 UI/UX, 고성능 주문 처리, AI·빅데이터 활용 분석 등을 특징으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단기·적극 매매를 하

caramelfilm.tistory.com

 

글로벌 전기차(EV)·배터리 경쟁과 한국 기업 수혜주 - 2025년 시장 전망과 투자 전략

전 세계가 전기차 시대로 빠르게 전환하는 가운데, 배터리는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핵심 기술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한국 배터리 기업들은 이미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고, 전기

caramelfilm.tistory.com

 

에코프로비엠 주가 분석 | 지금 매수할까? 목표 주가 & 투자 전략 총정리

■ 개요 (Introduction)에코프로비엠(247540)은 국내 2차전지 소재 대표주로, 하이니켈 양극재를 제조하는 글로벌 강자입니다. 2025년 3월 21일 기준, 에코프로비엠의 종가는 112,000원으로 전일 대비 -0.80%

caramelfilm.tistory.com

 

728x90
728x90